본문 바로가기
용어

집 사기 전 꼭 알아야 할 지표: PIR과 주택구입부담지수

by 고래부자 2024. 11. 30.

최근 부동산 시장,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아마 많은 분들이 뉴스나 기사에서 부동산 시장을 보고, 이게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 혼란스러우실 거예요. 오늘은 현재의 부동산 시장을 좀 더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아파트 매매 PIR'과 '주택구입부담지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집값이 비싸다고 느껴지시나요? – 아파트 매매 PIR

  • 많은 분들이 요즘 집값이 비싸다고 느끼실 텐데요, 이런 느낌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PIR (Price to Income Ratio)입니다. PIR은 집값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내 연봉(소득)을 몇 년 동안 모아야 집을 살 수 있을까"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거죠.
  • 연소득이 5,000만 원인 가구가 5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 PIR = 주택 가격 ÷ 가구 연소득
    • PIR = 5억 원 ÷ 5,000만 원 = 10
    • PIR이 10이라면 근로자가 모든 소득을 저축해 집을 사는 데 10년이 걸림!!
  • PIR 지표를 통해 현재 집값이 소득 대비 어느 정도 부담이 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서울의 아파트 매매 PIR은 11.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중간 소득 가구가 소득을 전부 저축한다는 가정하에 11.5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출 상환 부담은 어느 정도일까요? – 주택구입부담지수

  • 주택구입부담지수(Korea Housing Affordability Index, K-HAI)는 중위소득 가구가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했을 때 대출 상환 부담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요. 이 지수가 낮을수록 주택 구입 부담이 적음을 의미합니다.
  • 지수 수치의 의미
    •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00일 경우: 중위 소득 가구는 소득의 약 25%를 주택 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출 상환 부담의 기준 비율은 소득의 25%로 설정됩니다.)
    • 2024년 2분기 기준:
      • 서울의 K-HAI는 147.9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 중위 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소득의 약 37%를 대출 상환에 부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 계산식: 25% × 147.9 ÷ 100 = 37%

주택금융통계시스템 - 지역별 주택구입부담지수

 

주택 금융 통계 시스템 바로가기

주택금융통계시스템 - 2024년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지금 집을 사야 할까요, 기다려야 할까요?

  • 먼저 중요한 점은, 이 지표들이 전체적인 평균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개별 아파트나 특정 지역의 상황은 다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서울의 고가 아파트와 수도권 신도시의 아파트를 비교해 보았을 때, 고가 아파트는 이미 가격이 반등하여 과거 최고가를 회복한 반면, 신도시 아파트는 아직 반등하지 못한 아파트도 있죠. 따라서 아직 가격이 오르지 않은, 가치 있는 아파트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매수하는 것이 좋은 아파트도 있지만, 기다리면 더 좋은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아파트도 있어요. 특히 수도권에는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 상승하지 않은 지역들이 많이 남아 있답니다. 이런 곳을 잘 찾아본다면 내 집 마련이나 투자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겠죠.

 

 

지금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지표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입니다. 현재 시장에서 가치 대비 저평가된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거죠.개별 아파트와 지역의 가치를 잘 따져보고 내게 다가온 기회를 놓치지 않고 꼭 잡으시길 바랍니다.

 

2024.10.14 - [분류 전체보기] - 무주택자가 꼭 봐야 하는 지표, 매수우위지수

 

무주택자가 꼭 봐야 하는 지표, 매수우위지수

매수우위지수,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매수자와 매도자가 얼마나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 지수는 KB국민은행에서 집계하고, 부동산

likewale.tistory.com

2024.12.04 - [용어] - 전세가율 완벽 정리: 전세가율로 매수 타이밍 잡는 법 & 전략

 

전세가율 완벽 정리: 전세가율로 매수 타이밍 잡는 법 & 전략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전세가율'입니다. 최근 전세가율 상승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전세가율이 무엇인지, 전세가율 상승의 원인,

likewale.tistory.com